반응형 육아 정보 큐레이션22 생후 4개월 수면 퇴행 수면 퇴행(잠퇴행) - 잘 자던 아기가 눈에 띄게 수면 패턴이 바뀌었나요? - 토끼잠을 자거나 이유없이 낮잠을 건너뛰나요? - 평소 잘 자던 아이가 갑자기 밤에 깨어나서 우나요? - 스스로 자던 아이인데 갑자기 입면이 힘들어졌나요? - 한번 잠에서 깨면 다시 잠드는데 오래 걸리나요? 그렇다면 아기에게 수면 퇴행(잠퇴행) 시기가 온 것일 수 있어요. 수면 퇴행은 4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그리고 2세에 온다고 해요. 퇴행이라는 단어 때문에 놀랄 필요는 없어요. 퇴행은 곧 다음 발달 단계로의 도약을 의미하거든요. 수면 퇴행 역시 발달 단계상 아주 자연스러운 과정인 거죠. 뇌와 신체 성장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면서 수면 퇴행도 함께 온 거랍니다. 가장 중요한 건 이 시기도 언젠가 끝이 난다는 겁니다. .. 2023. 1. 12. 생후 4개월 아기 발달을 돕는 놀이 태어난 지 100일 정도 되면 아이가 가지고 놀던 모빌이나 초점책에 지루함을 느끼기도 하는데요. 이 시기의 아이는 지루함이나 심심함을 느낄 때 칭얼대고 보채기도 합니다. 그럴때 엄마, 아빠는 '아이와 뭘 하고 놀아주면 좋을까' 고민하게 되죠. 4개월차 아기를 키우고 있는 저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깨어있는 시간이 점점 길어지면서 뭘하고 놀아주면 좋을지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최대한 아이에게 여러 자극을 느끼게 주고 싶고요. 아마 다들 같은 마음이실 거예요. 생후 4개월 아기는 일단 시력이 발달하고 초점을 맞추고 색을 구분할 수 있게 돼요. 호기심도 많아져 눈에 보이는 모든 것들에 관심을 가져요. 또 손과 팔 근육이 발달하면서 만지고, 쥐고, 손을 뻗어 잡아당길 줄 알아요. 그렇게 손에 쥔 물건은 무엇이든 입.. 2023. 1. 11. 생후 4개월 아기 발달 체크해야 할 사항 시각발달 생후 4개월이 되면 엄마의 얼굴 생김새를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사람의 표정도 살필 수 있고요. 이 시기에는 거울로 자기 얼굴을 보여주면 관심을 가지고 쳐다봅니다. 거울 속 엄마 얼굴은 보고 엄마인 것을 인지하지만,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은 누구인지 알지 못하고 관심을 보일 뿐입니다. 혹시 4개월 아기가 어제는 눈을 맞췄는데 오늘은 눈을 맞추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나요? 그럼 어제 눈 맞춤 놀이를 너무 많이 한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세요. 표정과 목소리의 변화 없이 눈맞춤만 시도한다면, 아기는 엄마의 표정 없는 얼굴을 '의미 없는 자극'으로 받아들이고 눈을 피해요. 이럴 땐 아빠나 다른 사람이 이름을 부르면서 아기와 눈 맞춤을 시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는 똑같은 시각 자극에는 흥미를 덜 보입.. 2023. 1. 10. 생후 1개월~ 3개월 아기 발달 체크해야 할 사항 시각 발달 태어난 직후에는 한 물체에 시선을 고정시키거나 초점을 맞추지 못하지만, 생후 1개월만 되어도 20~25cm 떨어진 거리에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춰요. 생후 5-6주 정도 되면 사물을 지속적으로 응시할 수 있게 되고, 생후 2개월이 되면 아기는 우리 눈 혹은 튀어나온 코에 관심을 가지고 응시할 수 있습니다. 시각적으로 얼굴의 세부적인 부분을 인지하므로 부모와 낯선 사람의 얼굴을 구별할 수 있어 낯가림이 시작되기도 하죠. 3개월 정도 지나면 좌우 모든 방향으로 사물을 주시할 수 있습니다. 이때부터는 물체를 위아래나 원을 그리며 움직여도 눈으로 잘 쫓게 됩니다. 아기는 두 눈의 협응이 잘 이뤄지지 않아 때로는 사시처럼 보이기도 하는데요. 졸리거나 피곤할 때 사시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 병적이 사시가 .. 2023. 1. 6.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